HOME 로그인 고객센터 사이트맵
      
전체   |   원료·제조   |   행정·법률   |   마케팅   |   학술   |   과월호   |   장바구니 뉴트라덱스홈 > 산업정보 > 전체
[행정·법률] 日 소위건강식품 이제 설자리를 잃었다
카테고리: 행정·법률
파일형식: PDF 파일
페이지: 4 페이지
등록일: 2021. 05. 18
태그: 일본, 기능성표시식품, 특정보건용식품, 소위건강식품
가격: 3,000원
산업정보 패키지 구매
본문내용

기능성표시식품 득세에 사실상 사망선고

기능성표시식품 제도 도입 이후 일본 건강식품 시장이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 

기능성표시식품의 신고 건수는 무섭게 증가하는 반면, 그동안 시장을 형성해왔던 특정보건용식품과 소위건강식품들은 맥을 못추고 하락하는 모습이다. 

특정보건용식품의 경우는 신고건수가 제도도입 첫해 수준으로 떨어졌고, 소위건강식품 역시 기능성표시식품과의 경쟁에서 도태되며 빠르게 퇴장해가는 모습이다. 


연간 1,000건 신고 넘긴 기능성표시식품

일본의 기능성표시식품 신고건수가 지난해 제도도입 후 처음으로 연간 1,000건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4월20일을 기준으로 2020년의 신고 공개 총수는 1028건. 

일본 식품업계의 관심사가 오로지 기능성표시식품에 모이고 있다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활발한 모습이다.

기능성 성분의 연구자료를 가준 기능성표시식품 대응 소재들은 몸 값이 크게 치솟는 상황이고 신고를 위해 인체적용시험에 돌입하는 원료 사업자도 늘었다. 

또한 완제품을 기능성표시식품으로 출시하기 위해 적합한 소재를 찾는 메이커들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특히 코로나 이후 건강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부쩍 높아지며 기능성표시식품의 잠재력이 폭발하고 있다. 

구체적인 기능성을 광고에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기능성표시식품이 가진 최대의 장점이고, 이점이 소비자들의 관심을 이끌어내는데 더없이 훌륭한 요소가 되고 있다는 것이다.

유사자료
日 흰머리 고민 건강식품으로 풀까?
작년 日 건식 시장 9,000억엔 붕괴
日 기능성표시식품 10년만 5배 성장
日 홍국 사태 후 건식에 부정적 인식
日 H·B푸즈, 성장은 둔화·전망은 긍정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찾기
인기 산업정보
[기능성 허브탐구] 기침과 피부 ...
日 흰머리 고민 건강식품으로 풀...
건기식인 척 소비자 현혹, 대책 ...
작년 日 건식 시장 9,000억엔 붕...
[기능성 허브탐구] 유럽 전통의학...
최신 산업정보
[기능성 허브탐구] 심장을 튼튼하...
마음 챙기는 건기식 쑥쑥 성장 중...
[기능성 허브탐구] 갱년기 증상 ...
日 흰머리 고민 건강식품으로 풀...
[기능성 허브탐구] 항염, 항균 작...
최근 많이 본 뉴스
심장을 튼튼하게 해주는 셀러리
마음 챙기는 건기식 쑥쑥 성장 중...
그리스 요구르트기업 ‘초바니’ ...
갱년기 증상 완화하는 세이지
글로벌 새우 마켓 2029년 839억弗...
회사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저작권 정책 |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 고객센터 | 사이트맵
주소 : 서울시 서초구 서초대로 115 정다운빌딩 4층   |   전화 : 02-3270-0114   |   FAX : 02-3270-0139   |   Email : webmaster@yakup.com
상호: (주)약업신문   |   사업자번호 : 106-81-10940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22-서울서초-2586호   |   대표자 : 함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