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로그인 고객센터 사이트맵
      
전체   |   원료·제조   |   행정·법률   |   마케팅   |   학술   |   과월호   |   장바구니 뉴트라덱스홈 > 산업정보 > 마케팅
[마케팅] 기능성 표시식품 지난해 1.7배 성장
카테고리: 마케팅
파일형식: PDF 파일
페이지: 5 페이지
등록일: 2023. 04. 18
태그: 기능석표시식품, 일반식품, 농촌경제연구원, 기능성표시제
가격: 3,000원
산업정보 패키지 구매
본문내용

소비자 구매경험 및 구매 욕구도 높게 형성

지난해 기능성 표시식품 판매액이 전년대비 1.7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식품에 기능성을 표시할 수 있도록 허용한 첫해인 2011년 1,109억원 규모의 시장을 형성한 후 한 해만에 급격히 판매액이 상승한 것. 

농촌경제연구원 최윤영 부연구위원은 지난달 발표한 연구보고서 ‘일반식품 기능성 표시제 현황과 시사점’을 통해 기능성 표시식품 시장의 현황과 소비자 태도에 대해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기능성 표시식품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가 상당히 높은 편이며 소비자들의 재구며 욕구 또한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기능성 표시제 2년간 운영 결과

일반식품의 기능성 표시제는 2020년 12월29일 처음 도입되어 사실상 2021년부터 본격 운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식약처는 고시형 건강기능식품 원료 29가지 중 하나를 함유하면서, 건강기능식품 일일 섭취량 기준의 30% 이상을 섭취하도록 설계된 일반식품에 한해 해당 원료의 기능성를 표시할 수 있도록 제도를 도입했다.

“본 제품에는 ○○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알려진 ○○ 성분이 들어 있습니다” 문구와 함께 건강기능식품과 구분을 위해 “본 제품은 건강기능식품이 아닙니다”라는 문구를 삽입하는 조건으로 기능성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수년간 기능성 표시제를 둘러싸고 다양한 의견이 대립한 것도 사실. 

그러나 장기적으로 식품 산업을 활성화시키는 한편, 좀 더 건강에 유용한 식품을 고를 수 있도록 소비자 선택권을 강화한다는 취지에서 제도 도입이 전격적으로 결정된 셈이다.
유사자료
건기식 절반, 마트‧온라인서 판매
작년 건기식 구입액 3년만에 줄었다
일반식품에 밀린 건기식, 이건 아니다
기능성 표시식품 지난해 1.7배 성장
기능식품, 주로 메이커 보고 구매한다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찾기
인기 산업정보
작년 건기식 신제품만 6,000종 이...
[기능성 허브탐구] 월경·분만관...
작년 건기식 수입신고 13,000건 ...
[기능성 허브탐구] 소화촉진·통...
작년 日 건식시장 4.7% 감소 예상...
최신 산업정보
치매 700만 日, 뇌 건강 건식이 ...
[기능성 허브탐구] 소화촉진·통...
작년 건기식 수입신고 13,000건 ...
[기능성 허브탐구] 여성 건강에 ...
작년 日 건식시장 4.7% 감소 예상...
최근 많이 본 뉴스
치매 700만 日, 뇌 건강 건식이 ...
“비만 개선 GLP-1 치료제가 미각...
소화촉진·통증완화, 블레스드 씨...
우울증 수반 영양 불균형 개선 브...
美, ‘슈퍼볼 주간’ 스낵 매출 ...
회사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저작권 정책 |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 고객센터 | 사이트맵
주소 : 서울시 서초구 서초대로 115 정다운빌딩 4층   |   전화 : 02-3270-0114   |   FAX : 02-3270-0139   |   Email : webmaster@yakup.com
상호: (주)약업신문   |   사업자번호 : 106-81-10940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22-서울서초-2586호   |   대표자 : 함태원